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61건)

고광선-謹次益齋李先生影幀韻
嗟我先生道  아, 우리 선생이 가신 길은 海東百世春  해동에 백세토록 영원하도다. 五朝冢宰積  다섯 왕 총재로서 이룬 업적 十分事功神  그 공 귀신을 섬겨도 충분하리. 模月難模色  달은 본떠도 색깔은 본뜨기 어려우리 畵龍只畵身  용을 그린 것인지 단지 몸을 그린 것인지徒將遺像得 
고광선-掩耳洞十詠
①寒泉     한천 掩耳洞中老 엄이동에 사는 노인이 無端日弄波 무단히 날마다 물결을 희롱한다. 雖爲水所辱 물은 비록 욕을 당해도 不害其淸何 어떻게 그 맑음 잃지를 않는가? ②山月     산월 寂寞夜山齋 적막한 밤 산 속 집 孤吟頻蹴月 외로움에 읊조리며 달을 자꾸 밟지만. 月應不介嫌 달은 싫은 내색 하나 없어
고광선-掩耳齋原韻
結盧掩耳洞  엄이동 골짜기에 띠집을 지어 놓으니 日與洞雲隣  날마다 골짜기는 구름과 이웃 하오明月寒泉夜  밤이면 밝은 달 찬 샘물에 뜨고 流霞孤島晨  새벽이면 외로운 섬에 노을 흐르네.巖間垂死跡  바위틈에 죽은 자취 드리우는데 世外一遺民  나라 잃고 세상 등진 백성의 모습이라不道
서구문화원 올들어 공모사업 3건 1억2천만원 선정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이 올들어 연달아 3건의 인문공모사업에 선정되어 1억2천1백만원을 지원받아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창달 사업에 기여하게 됐다.서구문화원은 27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발표한 2018년 인문활동가 양성 파견사업에 교육강연형과 기획운영형에 각각 선정되어 8월부터 6개월동안 2100만원의
풍천대
광주시 광산구 안청동 안청공원 1920년이 풍천대(風泉臺)는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 1851~ 1917) 선생의 항일의적(抗日義蹟)을 기념하는 삼층석대(三層石臺)이다.석음 선생은 광산구 안청동(安淸洞)에서 태어나 노사(蘆沙) 기정진 선생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은 선비이다.1895년 을미사변때 송사(松沙)선생의 의병활동에
김정수-계남김선생유허비
광주시 남구 대촌동(화장동) 농막마을1913년이 계남김선생유허비는 김정수(桂南 金鼎洙)의 유허비이다. 경당 최윤환(敬堂 崔允煥)이 글을 썼는데 1913년에 건립되었다. 광주광역시 남구 화장동 농막부락 김인규씨집 뒷편 숲속이다.유허비에는 김정수는 현와 고광선(弦窩 高光善)의 문인으로 이름난 효자였을 뿐 아
오병일-양암처사낙안오씨유적비
광주시 서구 용두동 656-51982년이 양암처사낙안오씨유적비(養庵處士樂安吳氏遺蹟碑)는 현와 고광선의 문인인 오병일에 관한 비이다. 옆에는 양암거사유적비건립위원방명비가 함께 있다.
고광선-현와고선생묘비명
광주시 서구 용두동 산 79(봉산정사)이 조선유민현와고선생묘비명(朝鮮遺民弦窩高先生墓碑銘)은 현와 고광선 선생의 묘비명이다. 봉산정사  건너편 왼쪽의 산록에 있다.고광선은 광산구 안청동 석음 박노술의 풍천대를 1920년 세울 당시에 도유사를 맡는 등 지역의 중추적인 인물이었다. 영식재와 만취정의 상량
봉산사 묘정비
서구 용두동 산 79(봉산사)봉산사 묘정비鳳山祠廟庭碑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의 건립 취지와 그 사당의 주인, 곧 주벽主壁으로 모시는 인물에 대한 추앙의 문장 등이 적혀 있다. 1976년에 묘정비를 세워 기록을 남겼다.전 성균관장 영가永嘉 권중해權重海가 글을 지었고 덕양德陽 기영
엄이재유적비
광주시 서구 용두동 산 79(봉산정사)유적비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문하생인 충주인 송애松厓 박하형朴夏炯(1891~1971)이 글을 짓고 후학인 죽산인 송곡松谷 안규동安圭東(1907~1987)이 글씨를 썼다.
읍궁암(눈물바위)의 푸른 이끼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에는 읍궁암泣弓巖이 있어요. 엄이재掩耳齎 뒤편에 있는 푸른 이끼가 낀 바위를 말합니다. 이 엄이재는 한말 유학자이자 깨어있는 지식인으로 평가받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 선생이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봉황산鳳凰山에 들어가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
봉황산
서구 용두동과 남구 압촌동광주 무등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는 수레바위산 - 소룡봉 - 분적산 - 금당산을 지나 화방산 - 송학산 - 봉황산 - 등룡산으로 이어지다가 승촌에서 영산강을 만나 끝을 맺는데 그중에 봉황산은 167.8m이다. 서창과 대촌의 중간에 있으면서 눌재로를 사이에 두고 송학산과 마주보는 산이다.
영식재
광주시 서구 전평길 62(매월동)1929년매월동 개산마을에는 흥성 장씨興城張氏의 향제소享祭所이며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友(1704~1774)의 제향을 위한 재각이 영식재永式齋이다. 1928년 11월 문중회의에 의해 건축하기로 의결하고 1929년 8월에 건립되었다. 장정섭張整燮 장안섭張安燮 장창섭張昌燮 등이 주도적 역할을 하
봉산사
광주시 서구 용두동 산 79번지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깊숙한 꽤 높은 곳 봉황산 가파른 중턱에 봉산사가 있었다. 이곳은 을사늑약 이후 어지러운 세상에 그만 ‘귀를 닫아버리고[掩耳]’ 싶었다고 해서 ‘가리다, 숨기다’의 엄(掩)자를 쓴 엄이재 띠집을 짓고 후학을 가르친 현와 고광선이 지낸 곳이다.주변 숲속에 읍궁암
만귀정/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1984. 2. 29.)
서구 동하길 10(세하동)만귀정晩歸亭은 흥성 장씨의 선조인 효우당孝友堂 장창우張昌雨(1704∼1774)가 학문을 가르쳤던 옛 터에 후손들이 그의 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일제강점기 정자이다. 원래 건물은 소실됐으나 1934년에 다시 중건됐고, 1945년에 고쳐지었다. 앞면 2칸, 옆면 2칸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지붕은 옆면에서
농은정2
서구 주월동농은정農隱亭은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10리에 있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제자인 참판 농은農隱 이돈식李敦植(1847~1920)이 세웠고 춘담 기동준(1860~1918)의 기문과 현와 고광선(1855~1934)의 명문이 있다. 옛 광주은행 화정동지점과 보성보寶城堡 인근 주월동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
만귀정 습향각 묵암정사
서구 동하길 10 (세하동)서구 세하동, 마을 뒤에 백마산과 옥녀봉이 솟아있고 마을 앞에는 서창평야의 넓은 들고 그 가운데로 극락강이 흐르는 전형적인 농촌이다. 넓은 서창평야를 바라보며 오랫동안 마을 입구에 자리한 옛 정원형 정자가 있다. 마을 입구에 큰 연못이 있고 그 위로 다리를 사이에 두고 3개의 정자가 나란
만취정2 晩翠亭- 김용희
서구 매월동 (동산부락)만취정(晩翠亭)은 1925년에 김용희(金容希, 1860.5.27~1927.7.21)가 매월동 화개산 기슭에 처소로 지었다. 김용희의 호는 송암(松菴) 또는 만취정이다. 유고가 2권 있다고 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현와 고광선이 행장을 썼다. 삽봉 김세근 장군의 후손이다.만취정은 『광
월호정
서구 극락강변월호정月湖亭은 광주향교의 『광주지』(1964)에 따르면 서쪽 극락강변에 월호처사 최학崔㶅이 지냈던 곳으로 현와 고광선이 찬기를 남겼다. 그러나 지금은 그 위치를 가늠할 길이 없다.
일신당
서구 금화로 23(금호동)『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20리 거리에 일신당日新堂이 있었다. 뒤로는 얕은 산이 둘러싼 고즈넉한 만호마을이었다. 개촌 때는 만호곡晩湖谷이라 불렀고 정자는 상당히 오래전에 지어졌다. 1827년 이 마을에 살던 당시의 의식있는 지식인 3성씨인 음성박씨 일산日山 박호언朴浩彦, 순천박씨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